국내 주민등록인구가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중 인구 감소 폭이 가장 컸던 곳은 서울이었으며 반대로 인구가 가장 큰폭으로 늘어난 곳은 세종이었다.
행정안전부가 23일 발간한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민등록인구는 5163만8809명으로 2020년 5182만9023명 대비 0.37% 감소했다.
2019년 5184만9861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등록인구수는 2년 연속 감소했다. 특히 2019년과 2020년 사이 0.04%였던 인구 감소율이 2020년과 2021년 사이 0.37%로 크게 상승했다.
감소세는 지난해에도 이어졌는데 감소 폭은 전년보다 훨씬 커졌다. 인구 감소에는 출산율의 감소 등 자연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지난해 최초로 실시된 장기 거주불명자 실태조사도 영향을 미쳤다. 실태조사로 거주불명자 14만3162명의 주민등록이 직권말소 조치되면서 그만큼 인구가 감소했다. 2020년에서 2021년 사이 인구 감소분 19만214명 중 대부분이 주민등록 말소에 따른 감소분인 것이다.
하지만 주민등록말소자를 제외한 자연 감소분만을 따지더라도 4만7052명으로 2019년에서 2020년 사이 감소 인구수인 2만838명의 두배 이상이었다.
17개 시·도 중에서 지난해 가장 큰 비율로 인구가 줄어든 곳은 서울이었다. 서울의 주민등록인구는 2020년 966만8465명에서 2021년 950만9458명으로 15만9007명(1.6%)이 감소했다. 반대로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세종으로 35만5831명에서 37만1894명으로 1만6064명(4.5%)이 증가했다.
17개 시·도 중 인구가 감소한 곳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13곳이며 인구가 늘어난 곳은 인천, 세종, 경기, 제주 4곳이었다.
주민등록세대수는 인구수와 달리 지난 2011년부터 10년간 꾸준히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2020년 2309만3108가구였던 전체 세대수는 2021년 2347만2895가구로 37만9784가구(1.64%)늘었다.
특히 1인세대의 숫자가 지난해 906만3362가구에서 946만1695가구로 크게 늘면서 세대수 증가를 견인했다. 1인세대의 비율은 전체 세대의 40.3%를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1인세대 다음으로는 2인세대 23.9%(561만3943세대) 4인세대 18.7%(439만8613세대) 3인세대 17.0%(399만8644세대) 순이었다. 이중 4인세대의 경우 2011년 이후 10년간 꾸준히 숫자가 감소했다.
인구 감소세에도 전체 공무원 정원은 2020년 113만1796명에서 2021년 115만5952명으로 2만5156명(2.2%) 늘어 또다시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체 공무원 정원은 2012년 99만520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지방자치단체 예산은 288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9.6% 증가했으며 이중사회복지 예산이 30.5%(88조1000억원)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행안안전통계연보는 누구나 행안부 홈페이지에서 전자파일로 찾아볼 수 있다. 하경필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행정안전통계연보가 행정·안전 분야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과 학술연구를 지원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연보는 행안부 누리집(
www.mois.go.kr) '정책자료→통계→통계연보·주제별 통계'에서 전자파일로 제공된다.
김희라 기자
heera2939@naver.com
저작권자 © 복지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