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가 최근 5년간 약 72% 증가했지만, 실종 예방을 위한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6.1%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8일 국회 이종배 의원(충주)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2020년 52만 9475명, 2021년 78만 5097명, 2022년 82만 5858명, 2023년 86만 8801명, 2024년 91만 893명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치매 환자 실종신고 접수 건수도 2020년 1만 2272건, 2021년 1만 2577건, 2022년 1만 4527건, 2023년 1만 4577건, 2024년 1만 5502건으로 증가 추세다.
보건복지부는 치매 환자 실종 예방을 위해 배회감지기를 보급하고 있다. 치매 환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보호자가 설정한 권역을 벗어나면 긴급 알림을 전송하는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 기기다.
그러나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2021년 1.23%, 2022년 6.5%, 2023년 4.94%, 2024년 6.1%로 집계됐다. 건강보험공단 설문조사 결과 배회감지기 이용률 저조의 가장 큰 원인은 정보 부족(47.9%)으로 나타났다.
경찰청도 치매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지문과 사진, 보호자 인적사항 등을 미리 등록하는 지문 사전등록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5년 3월 기준 누적 등록률은 44%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의원은 "고령화 추세 속 치매 환자와 실종신고가 증가하는 만큼 적극적인 홍보로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뉴스1 윤원진 기자 (
blueseeking@news1.kr)